태백시, 어르신 보청기·보행보조차 지원 2차 신청 접수

c6547e797113e52c01a3ee84ee187984_1687860503_4065.png
 

태백시, 어르신 보청기·보행보조차 지원 2차 신청 접수

주성돈기자

9월 15일부터 10월 31일까지 주민등록 주소지 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가능

희귀질환자·저소득층·기초연금 수급 어르신 우선 지원해 돌봄 안전망 강화

태백시가 오는 9월 15일부터 10월 31일까지 「2025년 어르신 보청기 및 보행보조차 지원 사업」 2차 신청을 접수한다고 밝혔다. 

 

11인2. 태백시, 어르신 보청기·보행보조차 2차 지원 접수.JPG

 

이번 접수는 주민등록 주소지 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진행되며, 경제적 여건으로 보청기와 보행보조차를 마련하기 어려운 어르신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추진됐다. 

 

시는 이를 통해 고령층의 의사소통과 안전한 이동을 돕고, 궁극적으로 일상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지원 대상 및 신청 요건

이번 지원 사업의 신청 대상은 신청일 기준 1년 이상 태백시에 거주한 만 65세 이상 어르신이다. 

 

지원 항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우선 보청기의 경우 이비인후과 전문의에게 난청 진단을 받은 어르신이 신청할 수 있다. 

 

또 보행보조차는 장기요양등급 외 A·B 판정을 받은 어르신이 대상이다.

 

시는 특히 희귀난치성 질환자,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기초연금 수급자를 우선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이는 지원 사업의 목적이 단순한 복지 차원을 넘어,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사회적 고립을 겪는 취약계층의 실질적인 불편을 해소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미 다른 법령이나 공공기관·단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지원을 받은 경우에는 대상에서 제외된다. 

 

중복 지원을 방지하고 한정된 예산을 더 많은 어르신에게 공정하게 배분하기 위한 조치다.

 

태백시는 지난 1차 접수에서 상당수 어르신이 혜택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여전히 난청과 이동 불편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고령자가 많다는 점에서 이번 2차 접수에 나서게 됐다. 시 관계자는 “이번 지원을 통해 보청기와 보행보조차를 제공받는 어르신들이 단절된 소통을 회복하고, 외출과 이동의 불안감을 덜어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태백시의 복지 정책 방향과 기대 효과

태백시는 이번 사업을 단순한 보조기기 지원이 아닌, 지역 사회 돌봄 안전망을 강화하는 종합적 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다.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상황에서 어르신들의 난청과 이동 장애는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다. 

 

청력이 약해지면 타인과의 대화가 단절돼 우울증이나 치매 위험이 커지고, 보행이 불편하면 외출을 꺼리면서 건강이 급격히 악화될 수 있다.

 

실제로 보청기는 단순히 소리를 크게 들리게 하는 기기가 아니라 사회적 관계를 회복시키는 중요한 매개체다. 보행보조차 역시 단순한 이동 보조기구가 아니라 낙상 위험을 줄이고 활동 반경을 넓혀주는 필수 도구다. 

 

태백시 관계자는 “보청기와 보행보조차는 단순한 기기가 아니라 삶을 지탱하는 필수 수단”이라며 “대상 어르신들이 꼭 신청해 더 안전하고 활기찬 일상을 누리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신청은 거주지 동 행정복지센터에서 가능하며, 구비 서류와 상담 절차를 거쳐 지원 여부가 확정된다. 

 

보다 자세한 상담은 태백시 사회복지과 노인정책돌봄팀(☎033-550-2071) 또는 8개 동 행정복지센터(☎033-550-2601~8)에서 안내받을 수 있다.

 

태백시는 이번 2차 접수를 통해 지원 대상이 확대됨으로써 지역 내 어르신들의 생활 만족도가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단순한 물품 지원을 넘어, 어르신들이 지역 사회 속에서 더욱 활발하게 소통하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이번 사업의 의미는 크다.

 

 

2025년 9월 12일, 태백시가 추진하는 이번 보청기 및 보행보조차 지원 사업은 고령화 시대 지방자치단체가 나아가야 할 복지 정책의 방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시의 적극적인 복지 행정이 어르신들의 실질적인 삶의 질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0 Comments

상담신청하기

메일문의하기

CS Center


000.0000.0000
월-금 : 9:30 ~ 17:30
토/일/공휴일 휴무
런치타임 : 12:30 ~ 13:30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